진화심리학 11

여성과 남성의 동성애는 같지 않다.

David Buss의 진화심리학.아주 긴 시간을, 그리고 인간에 대한 아주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그 중에서도 오늘 읽은 박스글이 흥미로웠다.여성 동성애자의 성적 지향에 대해 다룬 섹션이었다.흥미롭게 느껴졌던 점은, 동성애는 단일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오늘의 주제 - 여성 동성애자의 성적 지향 이에 대해서는 이미 Mike Bailey, Frank Muscarella, James Dabbs 등다양한 이론가들이 언급한 내용이라고 하나, 나는 처음 알았기에 놀랍게 느껴졌다. 동성애가 단일 현상이 아니라는 말은, 예를 들면 여성 동성애와 남성 동성애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며,애초에 아주 다르다는 것이다. 남성의 성적 지향은 발달 과정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나타난다고 한다.반면 여성의 성적 ..

진화심리학 2024.10.10

사랑이 무엇일까?

사랑이 무엇일까?저마다의 사랑에 대한 정의가 있을 것이다.인문학적으로 많이 다뤄지는 주제인만큼, 사람들이 말하는 사랑의 모양은 제각각이다. '사랑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과학적인 답을 내놓을 수 있을까? 오늘의 주제 - 사랑과 헌신 David Buss의 '진화심리학'에서는 사랑을과학적으로,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풀어냈다. 진화의 관점에서 여자가 배우자의 선호 요소로 생각하는 것은,풍부한 자원, 그리고 자원을 본인과 자식에게 기꺼이 헌신하려는 의지이다. ▼진화적으로 여성은 어떤 남성을 선호할까? (배우자 선호)▼ 진화적으로 여성은 어떤 남성을 선호할까? (배우자 선호)오늘은 진화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배우자 선호에 대해 알아본다.아주 긴 진화 과정에서, 오늘 다루는 내용은특히 우리의 조상이 전통적인 ..

진화심리학 2024.10.09

진화적으로 여성은 어떤 남성을 선호할까? (배우자 선호)

오늘은 진화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배우자 선호에 대해 알아본다.아주 긴 진화 과정에서, 오늘 다루는 내용은특히 우리의 조상이 전통적인 수렵 채집 환경에서 가지게 된 선호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듯 하다. 오늘의 주제 - 배우자 선호 (여성의 기준) 수렵 채집 사회에서 생존과 번식에 이익이 되는 방향,혹은 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우자 선호가 발달했을 것이라고 한다. 높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선호전통적인 수렵 채집인 사회에서는 지위 서열이 명확히 구분되었다.그 안에서 자원은, 높은 서열일수록 자원이 자유롭게 흘렀고,반면 밑으로 갈수록 한정적인 양의 자원이 존재했다. 여러 문화에서 '대인'이라는 말 혹은 그 의미와 같은 단어들이 존재했다.대인이란, 높은 지위의 남자를 나타내는 단어였는데,..

진화심리학 2024.10.06

두려움은 나쁜 감정인가? (두려움의 적응적 이유)

두려움은 보편적인 감정이다. 또 다른 보편적인 감정. 즐거움.즐거움은 긍정적 감정으로 느껴지는 반면 두려움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느껴진다.그렇다면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느끼지 않을수록 좋은 감정일까?오늘 다루어볼 이야기에서는 두려움의 근본적 존재 이유를 들여다본다.두려움, 자연의 적대적인 힘으로부터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신호적응의 관점에서 두려움의 존재 이유를 떠올려보면 이는 명백하다.어떠한 위협을 피하도록 안내하는 명백한 생존 가치를 가진 감정이다.이 때 사실 '피하도록'이라는 것은, 단순히 '도망가도록' 혹은 '회피하도록'이 아니다.도망갈 수도 있고, 맞서 싸울 수도 있다.  아이작 마크스(Isaac Marks)의 묘사에 따르면,이러한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에서는 빠르게 행동할 수 있도록 허리를 긴장시..

진화심리학 2024.08.16

자연 풍경을 보면 스트레스가 정말 줄어들까? (사바나 가설)

최근 스트레스를 잔뜩 받은 이에게 근처 자연 환경에 가서 조금 쉬다 오라고 하지 않는가.바다를 보러 간다거나, 산 높은 곳에 올라 전망을 내려다본다거나.그런 방식이 정말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을 줄여줄까?  그에 대답은 '그렇다'.Ulrich의 실험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 놓여있는 사람들에게자연 풍경 사진을 보여주자 생리적 고통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한다.그렇다면 왜? 그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이를 위해 오늘은 사바나 가설을 알아본다. 숲 속에서 눈을 떴다. 그런데 왼쪽에는 척박한 환경이,오른쪽에는 개울도 있고 열매도 있으며 푸릇한 색물들이 자라고 있다.당신은 어느 쪽을 향해 갈 것이며, 어떤 풍경이 아름답게 여겨지는가?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쪽 환경을 택할 것이고,그것은 사바나를 ..

진화심리학 2024.08.15

사냥과 채집, 무엇이 진화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까? (사냥 가설과 채집 가설)

약 2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 시점부터인류는 사냥과 채집을 주 먹거리 획득원으로 삼았다. 우리 조상들이 먹이를 구하는 방법이현생 인류로의 진화 방식과 어떤 식으로 연관이 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그 쟁점에는 2가지의 가설이 있다.바로 오늘 알아볼 사냥 가설과 채집 가설이다.사냥 가설: 초기 인류가 사냥 활동을 통해 진화해 왔다고 주장채집 가설: 인간 진화의 핵심 요인이 사냥보다는 식물 채집에 있었다고 주장 우리 인류가 사냥과 채집을 모두 했지만,어떤 것이 진화 양상에 있어 핵심 요인이 되었는가에 있어서 2가지 가설로 주장이 나뉘는 것이다.초기 인류 사회의 생존 전략과 문화적 발달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가 중요하다.우선 각각의 가설에 대해 알아보자.사냥 가설사냥 이전에는 단순히 먹이를 찾아 돌아..

진화심리학 2024.08.13

냉장고가 아닌 곳에 남은 고기를 보관하는 방법은? (식량 공급 가설)

고대인류, 우리 조상의 시절에는 냉장고가 없었다.그렇다면 사냥을 하던 우리의 인류는 먹고 남은 고기를 어떻게 보관했을까? 식량 공급 가설인류의 역사에서 90% 훨씬 이상의 기간을 수렵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획득했다.오늘은 수렵, 그러니까 사냥에 집중해서 알아본다.사람만이 가진 뚜렷한 특징 중 하나가, '강한 남성과의 동맹'이다.예를 들어, 침팬지 종류는 수컷들간의 경쟁이 매우 심한 종이다.간혹 동맹을 맺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관계라기보다는,일시적이며 기회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동맹이다.하지만 사람이 큰 동물을 사냥할 때 가장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협력자들과의 동맹이었다.사냥꾼 혼자 만의 힘으로는 어려웠다. 사냥으로 인한 작용 중 하나로, 사회적 교환과 신뢰 관계, 상호적인 이타성이 나타났다. 그것은 잉여..

진화심리학 2024.08.12

달콤한 것이 먹고 싶어지는 마음은 무엇일까?

생존의 적응 문제 - 식량의 획득과 선택진화론에서 말하는 적응 문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1. 생존과 성장 문제: 아기 ~ 생식이 가능한 단계까지 살아남고 성장하는 것2. 짝짓기(생식) 문제: 배우자를 선택하고, 유혹하고, 생식을 하는 것3. 양육 문제: 자손이 생식할 수 있는 단계까지 생존, 성장을 돕는 것4. 유전적 친척을 돕는 문제: 나의 유전자 복제본을 가진 친척의 생식을 돕는 것 그 중에서도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생존과 성장 문제'다. 현대인들을 이르는 말로, 양복을 입은 원시인이라고 한다.진화심리학자인 행크 데이비스의 책 제목이기도 하다.우리의 뇌는 조상들이 살던 이전의 환경에 적응한 기제들을 가진 뇌로현재의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우리 조상들이 살던 환경과 현재의 환경은..

진화심리학 2024.08.11

'진화한 심리 기제'의 특성

모든 종은 본성이 있다.예를 들어, 수사슴은 뿔로 본인의 몸을 지키고, 거북이는 껍데기로 자신의 신체를 보호한다.진화의 역사를 거치며 나름의 선택 압력을 받았고, 특별한 종류의 적응 문제들을 마주했다. 인간 또한 본성이 있다.사람이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인과과정을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가 유일하다.그러므로 모든 심리학 이론은 모두 진화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그렇다면 우리가 진화한 기원을 들여다보면 우리의 본성에 대해 어떠한 직관을 가질 수 있게 될까? 그 중에서도 진화심리학은,진화한 기제들의 집합으로 본 사람의 마음,그러한 기제를 작동시키는 맥락,그러한 기제들이 만들어내는 행동의 분석에 집중한다. 그렇다면, 진화한 심리 기제란 무엇인가?생물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들이다.여기에는 몇 가지 성질이 ..

진화심리학 2024.07.22

창조론과 진화론

나는 신을 믿는다.그럼에도 진화론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 어쩌면 양립되는 개념일 수 있다.하지만 좀 더 자세히 공부해볼 예정이다. 적응 기제란, 예를 들어보면 쉽게 받아들여진다. '굳은살'이다.마찰이 반복될 때 새로운 피부 세포가 많이 생겨나게 하는 굳은살을 만드는 기제가 있다.어떠한 적응 환경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응하게 되는 행동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사람에게는 이러한 적응 기제가 복잡하게 서로 상호작용하며 존재한다.이 적응기제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총 3가지의 이론이 있다.창조론 (Creationism)생명의 씨앗설 (Seeding Theory)진화론 (Theory of Evolution) 1. 창조론신이 인간 뿐 아니라 이 세상을 모두 창조했다는 이론이다.고래에서 플랑크톤까지..

진화심리학 2024.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