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심리학 12

창조론과 진화론

나는 신을 믿는다.그럼에도 진화론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 어쩌면 양립되는 개념일 수 있다.하지만 좀 더 자세히 공부해볼 예정이다. 적응 기제란, 예를 들어보면 쉽게 받아들여진다. '굳은살'이다.마찰이 반복될 때 새로운 피부 세포가 많이 생겨나게 하는 굳은살을 만드는 기제가 있다.어떠한 적응 환경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응하게 되는 행동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사람에게는 이러한 적응 기제가 복잡하게 서로 상호작용하며 존재한다.이 적응기제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표적으로 총 3가지의 이론이 있다.창조론 (Creationism)생명의 씨앗설 (Seeding Theory)진화론 (Theory of Evolution) 1. 창조론신이 인간 뿐 아니라 이 세상을 모두 창조했다는 이론이다.고래에서 플랑크톤까지..

진화심리학 2024.07.21

무엇이 진화심리학을 낳았는가?

진화심리학은 그 말처럼, '진화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창조론, 생명의 씨앗설, 진화론 중에서도 말이다.이 셋 중 유일한 과학은 진화론이다.진화심리학 또한 마음과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마음과 행동을 탐구하는 방식이 '과학적'이기까지는역사적으로 여러 흐름들로부터 진화심리학은 태어났다. 순서 미리보기1. 다윈의 자연 선택론2. 다윈의 성 선택론3. 진화론에 더해진 유전 이론 (그레고어 멘델)4. 동물행동학 (콘라트 로렌츠)5. 윌리엄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6. 조지 윌리엄스 (1966)7. 로버트 트리버스의 3가지 이론 (1970년대)8. 에드워드 윌슨 (1975)9. 현생 인류의 기원10. 심리학 분야11. 해리 할로우의 아기 원숭이 애착 실험 1. 다윈의 자연 선택론다윈 이전에도 진화에..

진화심리학 202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