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학 36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3 (핵, DNA, mRNA, 전사, 번역)

오늘은 세포체의 핵에서 세포질까지 유전 정보가 전달되어단백질이 합성되는 단계에서의 용어 및 개념정리다.고등학교에서 생물은 유전에서 막혔었는데, 그 기본 방식들을 다시 공부하니그래도 배운 것들이 떠오르기도 하고.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2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2이전 글인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에 이어서,오늘은 뉴런과 교세포와 관련된 부분의 용어 및 개념을 정리한다.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아직 책 한권을doandraw.tistory.comCell body (세포체)- nucleus (핵)- cytoplasm (세포질) 이전 시간에 뉴런은 크게 세포체, 수상돌기, 축삭의 구조를 가진다고 했었는데,그 중에서도 세포체는 핵과 세포질의 구조로 구분해볼 ..

신경과학 2024.11.27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2

이전 글인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에 이어서,오늘은 뉴런과 교세포와 관련된 부분의 용어 및 개념을 정리한다.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아직 책 한권을 모두 공부한 것은 아니지만,우선 기본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는 한 번 훑어본 것 같다.그래서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읽어보면서 외우지 못했던 부분들,특히 단어의 한글, 영어 표doandraw.tistory.com Neuron & Glia (Glia cell)뉴런 & 교세포 뉴런과 교세포의 구조는 마치 초콜릿칩 쿠키로 생각하면 좋다.초콜릿칩은 뉴런, 쿠키 부분은 교세포이다.뉴런은 정보 전달의 역할, 교세포는 주변 뉴런을 절연, 보조 역할, 그리고 영향 공급을 하는 구조다.뇌 세포 연구를 위해 발전해온 방법 - microt..

신경과학 2024.11.26

신경과학 용어 및 개념 정리 1

아직 책 한권을 모두 공부한 것은 아니지만,우선 기본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는 한 번 훑어본 것 같다.그래서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읽어보면서 외우지 못했던 부분들,특히 단어의 한글, 영어 표기를 비롯해 개념들을 짚어보고자 한다.CNS (Central nerve system): 중추신경계PNS (Peripheral nerve system):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었으며,말초신경계는 뇌와 척수에 있는 신경과 신경세포를 제외한 부분들을 말한다.gyri: 회(융기부)sulci: 열구(홈)fissure: 열(홈) gyrus - 이랑sulcus - 고랑 뇌에 주름이 잡혀서 솟은 부분은 gyrus / 이랑 이라고 하며,이랑 사이의 홈 부분은 sulcus /고랑 이라고 한다.고랑은 fissure 또한 ..

신경과학 2024.11.25

확산성 조절계에 작용하는 환각제와 흥분제

앞선 글들에서 확산성 조절계에 대해 알아보았다.오늘은 그 확산성 조절계에 작용하는 약물들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숏폼은 어떻게 도파민 문제를 일으키나? (세로토닌성, 도파민성, 콜린성 확산성 조절계) 숏폼은 어떻게 도파민 문제를 일으키나? (세로토닌성, 도파민성, 콜린성 확산성 조절계)오늘도 저번 글에 이어 확산성 조절계의 일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확산성 조절계 중 일부로는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 세로토닌성 봉선핵,도파민성 흑질과 복측피doandraw.tistory.com 우선 확산성 조절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크게 두 분류로 구분된다.환각제(hallucinogen)와 흥분제(stimulants)다.이러한 약물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마음을 변화시킨다.그 방식은 주로 화학적 ..

신경과학 2024.11.23

숏폼은 어떻게 도파민 문제를 일으키나? (세로토닌성, 도파민성, 콜린성 확산성 조절계)

오늘도 저번 글에 이어 확산성 조절계의 일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확산성 조절계 중 일부로는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 세로토닌성 봉선핵,도파민성 흑질과 복측피개영역, 콜린성 전뇌기저부&교뇌중뇌피개 복합체가 있다. 그 중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doandraw.tistory.com/entry/노르아드레날린성-청반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이전 글에서 뇌의 확산성 조절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었다.확산성 조절계의 종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것은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이다. 뇌의 확산성 조절계doandraw.tistory.com 세로토닌성 봉선핵크게 두 분류로 나누자면,가장 꼬리쪽에 존재하는 연수에 핵을 둔..

신경과학 2024.11.22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

이전 글에서 뇌의 확산성 조절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었다.확산성 조절계의 종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것은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이다. 뇌의 확산성 조절계 구조 뇌의 확산성 조절계 구조압정을 밟았을 때, 피부와 근육 그리고 뇌 사이의 즉각적인 신호 전달과는 다르게,졸리다, 잠에 빠지고 있다와 같은 신호는 광범위하게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이다.이러한 정보는 뇌의 여러 부위doandraw.tistory.com 이 노르에피네프린은 말초신경계에도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데,오늘 다뤄볼 청반의 뉴런에서도 사용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청반이란?청반이란 뇌교(pons)의 양쪽에 위치한다.각각 1만 2천개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반에서 시작된 뉴런은 뇌 전역으로 뻗어나간다.신호가 뇌 전역에..

신경과학 2024.11.20

뇌의 확산성 조절계 구조

압정을 밟았을 때, 피부와 근육 그리고 뇌 사이의 즉각적인 신호 전달과는 다르게,졸리다, 잠에 빠지고 있다와 같은 신호는 광범위하게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이다.이러한 정보는 뇌의 여러 부위로 전달되는데,광범위하게 뻗은 축삭을 가진 뉴런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뉴런들의 몇몇 집단이 있다.-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 세로토닌성 봉선핵- 도파민성 흑질&복측피개영역- 콜린성 전뇌기저부&교뇌중뇌피개 복합체 이러한 뉴런들의 집단은 고유한 신경전달물질을 사용하며 뇌 구석구석까지 연결된다.앞서 말한 것처럼 세밀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목적보다는,시냅스후 뉴런들에 의해 이루어진 거대한 조합(ex. 대뇌피질, 시상, 척수 등의 구조)을 조절함으로써이들을 더 흥분시키거나, 덜 흥분시키거나, 혹은 다소 동시에 활성을 ..

신경과학 2024.11.17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신경절전과 신경절후의 신경전달물질을 구분해서 알아본다.오늘의 주제 - 자율신경계의 신경절전 신경전달물질과 신경절후 신경전달물질신경절전 신경전달물질말초에 있는 자율신경계의 1차적인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이다.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교감, 부교감 신경절전 뉴런에서 모두 아세틸콜린을 방출한다. 에세틸콜린은 어떤 수용체와 결합하거나 어떤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지에 따라 다른 효과를 유도한다.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면, 신경절후 뉴런에서 활동전위를 일으키는 빠른 EPSP를 유발한다.또, 아세틸콜린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AChR)을 활성화시켜,이온채널의 개폐를 조절하여 매우 느린 EPSP, 혹은 IPSP를 유도한다.EPSP: 흥분성 시냅스후 전압 (excitatory pos..

신경과학 2024.11.14

장 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조절

자율신경계는 불수의 신경계다.내가 의식적으로(생각으로) 팔을 움직이는 것과 달리,의식적으로 장 운동을 촉진시킬 수는 없다. 이전 글에서 자율신경계 내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대해 알아보았다.https://doandraw.tistory.com/entry/불안할-때-소화가-잘-안되는-이유는-교감신경계와-부교감신경계 불안할 때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급하고, 불안하고, 공포심을 느낄 때 처럼,우리 마음이 편안하지 못할 때 우리는 특히 소화를 잘 못시킨다고 느낀다.그 이유는 불안할 때는 비교적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교감신경계는 소화doandraw.tistory.com 오늘은 자율신경계의 회로인 장 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 어떤 부분에 의해 자율신경계가 조절되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신경과학 2024.11.12

불안할 때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급하고, 불안하고, 공포심을 느낄 때 처럼,우리 마음이 편안하지 못할 때 우리는 특히 소화를 잘 못시킨다고 느낀다.그 이유는 불안할 때는 비교적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교감신경계는 소화 기능을 억제시키기 때문이다.교감신경계과 부교감신경계의 기본적인 원리만 알아도 이해가 가는 우리 몸의 반응들이 많은 것 같다. 오늘의 주제 -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신경계는 크게, 체성말초신경계와 내장성말초신경계라고 불리는 자율신경계로 구분할 수 있다.그 중에도,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과 부교감신경계로 구분된다. 이 두 신경계는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데,신경계의 실제 위치 또한 구분되어 있다. - 교감신경계: 흉추~요추 사이- 부교감신경계: 뇌신경, 미추 자율신경계는 분비선, 평활근, 심장근 등에 연접한다.이 자율신..

신경과학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