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부하고 있는 부분은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시상하부에서는 뇌하수체의 후엽과 전엽을 조절하는데,
뇌하수체 후엽을 조절할 떄에는 거대세포성 분비뉴런을 통해,
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할 떄에는 소세포성 분비뉴런을 통해 조절한다.
뇌하수체 후엽은 뇌 조직의 일부라면, 뇌하수체 전엽은 분비선이다.
신체 다른 분비선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다양한 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한다.
예를 들면, 생식선, 갑상선, 부신, 젖샘 등이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호르몬 | 표적기관 | 작용 |
여포 자극 호르몬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
생식선 | 배란, 정자 생성 |
황체 호르몬 (luteinizing hormome; LH) |
생식선 | 난소, 정자 성숙 |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
갑상선 | 티록신의 분비 (대사율의 증가) |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
부신피질 | 코티솔의 분비 (저장된 에너지의 동원, 면역계의 억제, 기타 다른 작용들) |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e; GH) |
모든 세포 | 단백질 합성을 촉진 |
프로락틴 (prolactin) |
유선 | 성장과 젖 분비 |
소세포성 분비뉴런에서 시상하부 뉴런으로 연결된 축삭을 통해 호르몬이 수송된다.
그리고 시상하부 뉴런에서 전엽까지는 혈류를 통해 연결되는데,
시상하부 호르몬이 제 3뇌식 바닥의 특수화된 모세혈관 상에 분비가 된다.
그리고 모세혈관에서는 뇌하수체 줄기를 따라 내려와 전엽에서 분지되는데,
이를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순환이라고 한다.
시상하부 호르몬은 뇌하수체 뉴런의 특정 호르몬과 결합하고,
이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가 촉진되거나 억제된다.
'신경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할 때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0) | 2024.11.10 |
---|---|
스트레스는 나쁜 것일까? (2) | 2024.11.06 |
같은 선인데 왜 더 길어보일까? (착시효과의 신경학적 이유) (3) | 2024.10.19 |
초파리 뇌 지도의 완성 소식 (초파리 커넥톰) (2) | 2024.10.09 |
뇌가 크면 지능도 높을까? (1)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