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28

현대의 위계질서는 어디에서 유래되었는가?

우리의 조상들은 던바넘버(150명) 내외의 부족민들과 함께 생활했다. 그 안에서의 '평등'이라는 개념은 대개 성인 남성들 안에서 지향할 수 있는 개념이었다. 반면 그 외의 관계에서는 위계적인 질서를 가지고 있었다. 수렵-채집 생활 속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 남편과 아내와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위계적이었다고 한다. (남편과 아내와의 관계의 위계에 대해서는 몇몇 주장이 엇갈리는 것 같다.) 그런데 그 반대의 주장을 펼치는 연구자도 있다. 인류학자 크리스토퍼 보엠이다. 수렵-채집사회에 속한 사람들은 아무도 과도한 권력을 갖지 못하게 하도록 모두가 투철하게 노력했다고 한다. 부족원들은 너무 거만하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내려 앉히기 위해 비판하거나 조롱, 혹은 뒷담화를 방법으로 썼다는 것인데,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진화심리학 2024.11.11

불안할 때 소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급하고, 불안하고, 공포심을 느낄 때 처럼,우리 마음이 편안하지 못할 때 우리는 특히 소화를 잘 못시킨다고 느낀다.그 이유는 불안할 때는 비교적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고,교감신경계는 소화 기능을 억제시키기 때문이다.교감신경계과 부교감신경계의 기본적인 원리만 알아도 이해가 가는 우리 몸의 반응들이 많은 것 같다. 오늘의 주제 -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 신경계는 크게, 체성말초신경계와 내장성말초신경계라고 불리는 자율신경계로 구분할 수 있다.그 중에도,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과 부교감신경계로 구분된다. 이 두 신경계는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데,신경계의 실제 위치 또한 구분되어 있다. - 교감신경계: 흉추~요추 사이- 부교감신경계: 뇌신경, 미추 자율신경계는 분비선, 평활근, 심장근 등에 연접한다.이 자율신..

신경과학 2024.11.10

독일어 혼자 공부하기 (98일차)

98일차 독일어 공부. 오늘 배운 내용은, 나에게는 새로운 내용,그러나 독일어를 독학하는 많은 이들에게는 이미 익숙한 내용일 것 같다.어떤 언어를 배우더라도 초반부에 배우는 숫자이다. eins: onezwei: twodrei: three- eins, zwei, drei: one, two, three (일, 이, 삼)- Drei Orangen, bitte!: Three orange, please! (오렌지 3개, 부탁합니다!)- Guten Margen, zwei oder drei Orangen?: Good morning, two or three oranges? (좋은 아침! 오렌지 두 개 혹은 세 개?) Entschuldigung, ist der Marktplatz in der Nähe?Excuse me,..

세상 공부 2024.11.09

독일어 혼자 공부하기 (96일차)

96일차 독일어 공부.다음 챕터를 앞두고 있다.그래서 지금까지의 챕터를 복습하는 레슨이었다. Ja, Ich libe in KanadaYes, I live in Canada. Oh, Sie leben in Deutschland, Frau Merkel.Oh, you live in Germany, Ms. Merkel!- Sie leben: You live (여성명사를 지칭할 때)- Deutschland: Germany Ich heiße Robert. Ich komme aus Deutschland, aber ich lebe in Kanada. Lebst du auch in Kanada?My name is Robert. I come from Germany, but I live in Canada.Do you liv..

세상 공부 2024.11.08

로봇에게는 감정이 필요할까?

최근 인공지능이 대두되며, 관련 기술들의 발전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한 것 같다.이미지, 텍스트, 음성 등 다양한 방식의 생성형 AI부터,멀티모달 형식의 AI 소통 기술들이 발전하며,처음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시작된 변혁의 순간과 같은그 시점에 우리는 서 있는 것 같다.내 생각엔, 스마트폰이 우리 일상을 바꾼 것보다도 훨씬 큰 변화의 폭이 발생할 것 같다. 최근 읽은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로봇과의 소통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짐으로 인해인공지능 로봇에게 감정이 필요한가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해당 논문의 요지는 인공지능 로봇에게 감정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우리가 로봇에게 바라는 것은 인간인 다른 타인의 모습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위험으로 인해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로봇이 하거나,인..

세상 공부 2024.11.07

스트레스는 나쁜 것일까?

스트레스는 나쁜 것일까?아니면, 좋은 것이라고 해야할까?양 극단으로만 나눌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스트레스는 나쁜 것일까?  내가 생각했을 때 '스트레스 받는다'라는 것 자체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것 같다.스트레스를 받게 된 계기를 통해서 특정 상황을 학습할 수 있고,또 스트레스를 받게 된 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심리적, 생리적 반응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생물학적인 스트레스는 실질적, 혹은 가상의 자극에 반응하여 뇌에 의해 형성된다고 한다.스트레스는 여러 생리적 반응을 야기하는데,이 반응이 스트레스를 유발한 위험 요소로부터 신체와 뇌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생리적 반응스트레스는 부신피질로부터 코티솔(cortisol)의 분비를 유도한다.cortisol은 혈류를 통..

신경과학 2024.11.06

시상하부가 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하는 방식

요즘 공부하고 있는 부분은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시상하부에서는 뇌하수체의 후엽과 전엽을 조절하는데,뇌하수체 후엽을 조절할 떄에는 거대세포성 분비뉴런을 통해,뇌하수체 전엽을 조절할 떄에는 소세포성 분비뉴런을 통해 조절한다.뇌하수체 후엽은 뇌 조직의 일부라면, 뇌하수체 전엽은 분비선이다.신체 다른 분비선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다양한 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한다.예를 들면, 생식선, 갑상선, 부신, 젖샘 등이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호르몬표적기관작용여포 자극 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생식선배란, 정자 생성황체 호르몬(luteinizing hormome; LH)생식선난소, 정자 성숙갑상선 자극 호르몬(th..

신경과학 2024.11.04

독일어 혼자 공부하기 (90일차)

오늘도 90일차 독일어 공부. 오늘은 나의 부족한 문법에 대해 채워보는 레슨이었다. 🌟 der + 남성명사 / die + 여성명사 / das + 중성명사 🌟 Hier ist die Pizza und hier ist das Sandwich.= Here is the pizza and here is the sandwich. (여기 피자이고, 여기 샌드위치 입니다.) * die Pizza = die + 여성명사* das Sandwich = das + 중성명사 Wo ist der Kellner? Wo ist das Restaurant?= Where is the waiter? Where is the restaurant? Kellner: 남성명사 → der KellnerKellnerin: 여성명사 → die Ke..

세상 공부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