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학

화학적 시냅스

doandraw 2024. 8. 15. 11:51

저번 글에서는 시냅스의 다른 종류, 전기적 시냅스에 대해 알아보았었다.

전기적 시냅스는 세포가 서로 갭이음으로 연결되어,

갭이음 채널을 통해 이온이나 생체 분자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이온이 이동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한다.

 

내가 몰랐던 다른 종류의 시냅스 (전기적 시냅스)

시냅스는 접합점이다. 뉴런과 표적세포를, 혹은 뉴런과 다른 뉴런을 연결한다.시냅스. 하면 나에게 떠오르는 모양새가 있다.시냅스 틈을 통해 화학 물질이 이동하는 형태이다.하지만 시냅스에

doandraw.tistory.com

 

전기적 시냅스, 화학적 시냅스 / 출처: 네이버 블로그

 

 

오늘은 시냅스의 두 번째 종류, 화학적 시냅스다.

말 그대로 화학적으로 매개되는 시냅스인데,

성인의 신경계의 대부분에서 화학적 매개가 이루어진다.

 

화학적 시냅스 / 출처: simplypsychology

 

화학적 시냅스의 기초

시냅스틈

화학적 시냅스에서, 시냅스전과 시냅스후가 이루는 그 틈, 시냅스틈이다.

이 시냅스틈은 20~50nm로, 갭이음이 3nm인 것에 비하면 최소 7배 정도의 틈이다.

이 시냅스틈은 섬유성 세포와 단백질이 포함된 매트릭스로 채워져 있는데,

이 매트릭스가 뉴런 사이의 풀 역할을 한다.

 

화학적 시냅스 구조

1) 시냅스전

보통 축삭의 말단 부위가 되는 시냅스전.

이 말단부위에는 신경전달물질들을 저장하고 있는 시냅스 소포(synaptic vesicles)가 있다.

지름이 100nm 정도 되는 큰 크기의 소포를 분비 과립(secretory granules)이라고 하고,

이 분비 과립은 때때로 큰 고밀도의 핵 소포(dense-core vesicles)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막분화체

시냅스전, 시냅스후 사이의 막에 붙어있거나 인접한 단백질 부분을

통틀어서 막 분화체(membrane differentiations)라고 한다.

이 영역은 시냅스전의 활동구역과, 시냅스후 치밀질을 포함한다.

 

3) 시냅스후

시냅스후 치밀질에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세포간 신호(Ex. 신경전달물질) → 세포내 신호(Ex. 막전위 변화, 화학적 변화)로 전환한다.

 

중추신경계(CNS) 화학적 시냅스

중추신경계 화학적 시냅스

중추신경계의 화학적 시냅스는,

축삭 말단에 어느 부위의 뉴런이 연접했느냐에 따라서,

그리고 막 분화의 형태에 따라서도 여러 종류로 구분해볼 수 있다.

축삭 말단에 어느 부위의 뉴런이 연접했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
1. 축삭-수상돌기성(axodendritic)
2. 축삭-세포체성(axosomatic)
3. 축삭-축삭성(axoaxonic)
4. 수상-수상성(dendrodendritic)

(a)축삭-수상돌기성 (b)축삭-세포체성 (c)축삭-축삭성 / 출처: toppr

막 분화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종류
1. 비대칭 시냅스 (asymmetrical synapses) = 그레이 타입 1 시냅스 (Gray's type 1 synapses)
2. 대칭 시냅스 (symmetrical synapses) = 그레이 타입 2 시냅스 (Gray's type 2 synapses)

(a)비대칭 시냅스 (b)대칭 시냅스 / 출처: wolters kluwer

 

신경근접합 시냅스

신경근접합 시냅스

시냅스는 중추신경계 뿐 아니라 신경근접합의 방식으로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자율신경계의 축삭은 분비선이나 민무니근, 심장 등으로 연접하기도 하고,

척수에서 나온 운동뉴런의 축삭은 골격근으로도 연접하기도 한다.

 

이 신경근접합 시냅스는, 확실성의 특성을 띈다.

시냅스전 세포가 활성전위를 일으키면, 반드시 연접한 근육세포에서도 활동전위가 유발된다는 것이다.

신경근접합 시냅스 / 출처: Jedd Pratt, Giuseppe De Vito,Marco Vincenzo Narici & Colin A G Boreham. (2020). Neuromuscular Junction Aging: A Role for Biomarkers and Exercise

 

신경근접합의 구조적 특성을 원인으로 이 시냅스는 확실성을 갖게 된다.

우선 이 신경근접합 시냅스는 체내에서 가장 큰 시냅스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구역을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시냅스후 막을 운동종판이라고 하는데,

운동종판은 접합주름 형태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가 밀집되어 있다.


출처

Bear, M. F., Connors, B. W., & Paradiso, M. A. (2018).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K. Bong-Kiun et al., Trans.; 4th ed.). BioMed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