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틸콜린 2

숏폼은 어떻게 도파민 문제를 일으키나? (세로토닌성, 도파민성, 콜린성 확산성 조절계)

오늘도 저번 글에 이어 확산성 조절계의 일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확산성 조절계 중 일부로는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 세로토닌성 봉선핵,도파민성 흑질과 복측피개영역, 콜린성 전뇌기저부&교뇌중뇌피개 복합체가 있다. 그 중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doandraw.tistory.com/entry/노르아드레날린성-청반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이전 글에서 뇌의 확산성 조절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었다.확산성 조절계의 종류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것은 '노르아드레날린성 청반'이다. 뇌의 확산성 조절계doandraw.tistory.com 세로토닌성 봉선핵크게 두 분류로 나누자면,가장 꼬리쪽에 존재하는 연수에 핵을 둔..

신경과학 2024.11.22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신경절전과 신경절후의 신경전달물질을 구분해서 알아본다.오늘의 주제 - 자율신경계의 신경절전 신경전달물질과 신경절후 신경전달물질신경절전 신경전달물질말초에 있는 자율신경계의 1차적인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이다.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교감, 부교감 신경절전 뉴런에서 모두 아세틸콜린을 방출한다. 에세틸콜린은 어떤 수용체와 결합하거나 어떤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지에 따라 다른 효과를 유도한다.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면, 신경절후 뉴런에서 활동전위를 일으키는 빠른 EPSP를 유발한다.또, 아세틸콜린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AChR)을 활성화시켜,이온채널의 개폐를 조절하여 매우 느린 EPSP, 혹은 IPSP를 유도한다.EPSP: 흥분성 시냅스후 전압 (excitatory pos..

신경과학 2024.11.14